안녕하세요, 행복한 부자입니다.
20대 30대 40대 각 세대 / 무주택 1주택 (또는 다주택) 별 주택 청약 저축 가입/ 유지 여부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택 청약 제도란?]
주택 청약 제도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택 마련을 돕기 위한 정부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청약(請約)의 의미는 한자 그대로 계약을 요청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주택 청약' 저축이라 함은 주택에 대한 계약을 청구하기 위한 저축 계좌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 주책청약저축은 왜 해야 할까요?
내 집을 마련/ 구매하는 방법은 크게 일반적인 시장 거래 (보통 부동산을 통한 거래), 전세, 경매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요즘 인기가 많은 신축 아파트의 경우, 분양에 대한 청약을 통한 절차가 대부분의 신축 아파트 구매 절차라고 볼 수 있죠.
즉, 건설사는 신축 아파트 건설/ 공급에 대해 분양을 하고, 구매 희망자들은 이에 대한 계약 요청, 즉 주택 청약 신청을 하여 선발/ 추첨 등의 방법으로 대상자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주택 청약을 신청할 수 있는 가장 기본 조건 중 하나가 바로 주택 청약 저축 계좌 유무이죠.
[주택청약저축 가입 방법]
시중 대부분의 은행에서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매우 쉽게 가입 가능합니다.
농협, 우리, 신한, 하나,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과 부산, 경남, 전북, 대구은행에서 매월 적게는 2만 원에서 많게는 약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며, 단, 납입한 잔액이 약 1,500만 원에 달할 때까지는 매번 약 50~100만 원을 초과하여 납입 가능합니다. 일종의 적금 계좌이니, 가입에 큰 어려움은 없죠.
[20대, 30대, 40대 각 세대별 주택 청약 저축 가입 필요 여부]
각 세대 별, 주택 보유 수량 별로, 주택 청약 저축 가입 필요성을 구분해 보자면, 개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추천합니다.
구분 | 무주택자 | 1주택자 | 다주택 |
20대 | 필수 | 필수 | 필수 |
30대 | 필수 | 필수 | 선택 |
40대 | 필수 | 선택 | X |
20대의 경우는 보유 주택의 유무를 구분할 필요 없이 가능한 어릴 때에 가입하는 게 좋고, 30대의 경우는 보유 무주택과 1 주택자의 경우 가입하는 것이 좋고, 40대의 경우 무주택의 경우 가입이 필요하지만, 그 이외의 경우는 개개인의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선택, 또는 X라고 명시해 놓긴 했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가입/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미 집이 있으신 분이나 40대 이상의 분들 중, 주택 청약 계좌를 이미 보유하고 계시거나, 신규 가입을 고민하는 분들이 매우 많은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반드시 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있어서 나쁠 건 없다"입니다. 특히, 30~40대의 경우, 보다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최근의 주택 청약 제도는 큰 의미가 없긴 하지만, 그래도 경우에 따라서 세제 혜택이 있을 수 있거나, 운 좋게 당첨되는 사례가 있을 수 있고, (선당후곰, 청약 당첨된 이후 고민하는 경우) 무엇보다 푼돈이라도 조금씩 오랫동안 쌓다 보면 쏠쏠한 적금 통장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정부 제도라는 게 나중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말이죠.
그렇다면, 주택 청약 저축을 가입하고 청약 신청만 한다면, 모두 당첨 가능할까요? 잘 아시겠지만, 정답은 ‘아니요’입니다. 가치가 높은 아파트의 경우, 청약 점수를 통해서 고득점자 위주로 당첨 확률이 높아지는 형식입니다. 청약 가산점을 높이는 방법, 당첨 확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 포스트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금융,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늦기 전에 시작하세요, 배당주 투자 - 야, 너도 될 수 있어, 배당주 부자!!! (0) | 2025.02.09 |
---|---|
주식 투자 vs. 펀드 투자, 뭐가 더 좋을까? (0) | 2025.02.05 |
직장인 퇴직 후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연금 계산법 총정리 (0) | 2024.04.11 |
주택담보대출 스트레스 DSR 뜻, 의미, 시행 내용 총정 (0) | 2024.03.13 |
주택담보대출 LTV DTI DSR 계산법, 대출 한도 확인 방법 (0)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