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3

센서의 정의, 중요성 미래 첨단 기술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는 관계로, 어떤 신기술이 있는지 조사해 보고 공부해 보고자, 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몇 차례 글을 올리다 보니, 의도치 않게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블로그가 많이 있네요. 최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분야다 보니, 본의 아니게 이 기술 분야에 대한 글이 많이 올라와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자율주행 기술 중 센서 분야에 관해 공부해 보고자 합니다. 센서라는 것은 측정 대상으로부터, 그 측정 대상이 가진 정보를 감지/ 측정하고, 이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인식이 가능한 언어/ 신호/ 정보 등으로 변환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화학적/ 물리적인 정보를 수입하고, 이를 원하는 체계의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라고 불리거나, 좀 .. 2023. 12. 18.
자율주행에 필요한 주요 핵심 기술_소프트웨어 편 앞서, 자율주행과 인공지능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클라우드 컴퓨팅과의 소프트웨어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도록 하자.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차 스스로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운행 중인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자율주행에 부착되어 있는 수많은 자율주행 센서를 통해서 감지되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자율주행차가 적합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초 고도화된 연산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이 연산 작업을 통해, 자율주행차 주변의 환경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 인지의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다만, 모든 자율주행차에 초고가의 슈퍼컴퓨터를 부착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임에 따라, 이 연산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 2023. 12. 13.
자율주행에 필요한 주요 핵심 기술_하드웨어 편 앞서 자율주행 기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면,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이 어떤 기술들이 있을지 살펴보는 것도 무척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자율주행과 관련이 있는 무수히 많은 기술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오늘은 인공지능과 딥러닝 기술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자율주행이란 말 그대로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자동차가 어떻게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어떻게 적절한 판단을 내리며, 자동차를 어떻게 조종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보를 인식하는 것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운전자는 운전할 때, 주로 시각을 활용하여 자동차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인식한다.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2023. 12. 12.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대한 고찰 이번에는 내가 과거에 공부했던 내용에 대해서, 취미 삼아, 그리고 추억 삼아서 복기해본 후, 포스팅해 보고자 한다. 그중 하나가 표면 플라스몬 공명 현상에 대한 내용이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은 유전 상수가 서로 다른 두 매질 사이 경계면에서의 전하 밀도의 진동에 근거한다. 이 전하 밀도 웨이브는 특정 주파수에서 입사하는 광자의 파동 벡터가 표면 플라스몬의 파동 벡터와 일치할 때 유도된다. 표면 플라스몬을 들뜨게 하는 입사광은 TM-편광이고, 파동 벡터가 일치하는 것은 경계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자 플러스가 입사광에 비해 급락하는 것으로 규명된다. 표면 플라스몬과 연관되는 field는 경계면 주위의 매질에까지 확장되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고, 경계면을 이루는 매질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2023.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