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녀 교육 관련 정보

초등 자녀 부모 필독 사항 늘봄학교 의미, 주요 내용 및 신청 방법

by 푸니룬 2024. 3. 8.
반응형

 

안녕하세요, 행복한 부자입니다.

초등학교, 특히 저학년 아이가 있는 부모들의 가장 주된 공통 관심사 중 하나가 바로 자녀 돌봄이죠. 요즘은 맞벌이도 많고, 또 맞벌이가 아니라도 아이에게만 남편, 또는 아내의 모든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마냥 쉬운 일도 아니지요. 때문에 나라가 아이의 돌봄을 거들어 주는, 정부가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정부에서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돌봄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차례]

1) [뜻, 소개, 도입 배경] 늘봄학교가 뭐고, 왜 정부가 도입하려 할까? 

2) [과거 사례, 늘봄학교의 장점] 예전의 돌봄 정책과는 뭐가 다른 건지, 늘봄학교의 장점은 무엇인지?

3) [적용 시점, 신청 대상/ 방법 및 추진 학교] 언제부터 진행하는 거고, 신청 대상은 누구며, 어떻게 신청하는 건지?

4) [프로그램, 운영진] 어떤 프로그램이 있고, 누가 주관/ 운영하는 건지?

 

늘봄학교 방과후 돌봄학교 유사 사례 이미지 예제
[늘봄학교 놀이 프로그램 유사 사례 예시]

1) [뜻, 소개, 도입 배경] 늘봄학교가 뭐고, 왜 정부가 도입하려 할까? 

‘늘봄’ 학교라는 말의 뜻은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늘봄학교는 초등학교 정규 수업 이전, 또는 이후에 학교라는 안심할 수 있는 장소에서 아이들이 돌봄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정부 정책 제도를 말합니다. 아무래도 학교라는 공간은 학부모가 집 이외에 아이가 있을 수 있는 가장 안심할 수 있는 장소 중의 하나이며, 수업 시간 이전/ 이후에 아이가 안심하고 시간을 보낼 수 있다면 부모의 육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니, 도입 취지 자체는 매우 훌륭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늘봄학교는 왜 도입된 걸까요?

요즘 뉴스에 매일 같이 나오는 사회 이슈 중 하나가 출산율 저하 문제죠. (`23. 연평균 대한민국 출산율 0.72명, 특히 3분기 기준 0.7명으로 역대 최저치) 출산율이 해가 갈수록 낮아지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육아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크며 특히 돌봄 공백에 따른 사교육비 증가 등의 이유 때문인데, 부모들의 육아에 대한 이러한 부담을 덜어주고 이를 통해 출산율을 부양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죠. 

제가 보는 늘봄학교의 주요 내용을 2가지로 뽑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희망하는 초등학생은 누구나 무료로 하루 2시간 이용 (단, `24년은 초1, `25년은 초1~2, `26년부터 초등 1~6년)

 ② 연령대별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문가들을 통해 운영 (지자체나 공공기관, 대학 및 전문기업과 연계하여 성장, 발달형 교육/ 놀이/ 체육/ 문화 등 프로그램 퀄리티 확보)

 

 

2) [과거 사례, 늘봄학교의 장점] 예전의 돌봄 정책과는 뭐가 다른 건지, 늘봄학교의 장점은 무엇인지?

 

과거의 방과 후나 돌봄 정책이 나쁜 정책은 분명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몇 가지 무시할 수 없는 단점들이 있었는데요, 바로 시간/ 비용/ 프로그램 취약 및 교사의 업무 부담 측면이었습니다. 하지만, 늘봄학교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이를 개선하고자 고민한 흔적이 뚜렷하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구분 기존 방과후/ 돌봄 향후 늘봄
이용 시간 주로 오후 1~5시 수업 시간 이전 및 이후 (최대 오후 8시)
비용 전액 학색/ 학부모 부담 (저소득층은 지원) 매일 2시간, 2개 프로그램 기준 전액 무상
프로그램 학교 인근 공급처 위주 전문 기관, 대학 및 기업 등
운영 주체 교사 교사 외 별도 전담 조직

(출처. 늘봄학교 홈페이지 - https://afterschool.kofac.re.kr 내용을 기반으로 자체 주관적으로 편집함)


무엇보다 일선 현장에서 몸 고생, 마음 고생하고 계신 우리 학교 선생님들께 업무 부담이 가지 않는다고 하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어요~~^^

 

 

3) [적용 시점, 신청 대상/ 방법 및 추진 학교] 언제부터 진행하는 거고, 신청 대상은 누구며, 어떻게 신청하는 건지?

`23년 하반기부터 일부 시범학교를 통해서 시험 운영되었으며, `24년 1학기 개학과 동시에 일부 대상 초등학교부터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각 지역 별, 대상 학교 검색 - 교육부 홈페이지 늘봄학교 안내 참조. https://www.moe.go.kr/sub/moeAreaMap.do?page=72786&m=0319&s=moe)

 

`24년은 1학년에 한해 운영되고 `25년은 1~2학년까지, `26년부터는 초등학교 전 학년까지 확대 운영될 예정입니다. `24~25년 동안의 타 학년들은 기존 방과 후와 돌봄 학교 이용 가능하다고 하니, 참조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6년부터는 방과 후와 돌봄이 아닌 늘봄학교 하나로 통합될 예정)

 

신청 방법은 각 학교를 통해서 접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청 방법을 특정하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각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서나, 아이 담임 선생님께 직접 문의하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또한, 교육부 및 각 시도 교육청*에서 늘봄학교 콜센터를 개설해 놓았으니, 이를 통해 문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교육부 홈페이지 참조.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72782&boardSeq=98269&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19&opType=N)

 

4) [프로그램, 운영진] 어떤 프로그램이 있고, 누가 주관/ 운영하는 건지?

개인적으로는 늘봄학교에는 매우 다양하고 유익한 프로그램이 많이 운영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창의과학, 기후환경, 사회정서, 문화예술 및 체육 등 5개 분야로 분류되어 있으며, 여러 다양한 전문기관, 대학교 및 협의 등 전문가/ 강사분들을 통해서 운영되고 있으니 신뢰감이 더욱 높아지는 것 같네요.

 

`24년은 1학년 대상의 프로그램 한정으로, 서울 45개 프로그램 포함하여 전국 약 400여 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25년, `26년에는 대상 학년이 확대되기 때문에 더욱 많은 프로그램이 신설/ 운영될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성인인 제가 봐도 구미가 당기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더라고요.)

(출처. 늘봄학교 홈페이지 - https://afterschool.kofac.re.kr/program/app/list/menu/245)

늘봄학교 방과후 돌봄학교 유사 사례 이미지 예시
[늘봄학교 교육 프로그램 유사 사례 이미지]

[마무리]

정부에서 큰돈 들여서 야심 차게 추진하는 좋은 취지의 제도이니 만큼 잘 살펴보시고 내 아이에게 유익하고 부모도 동시에 육아에 대한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이 정책/ 제도가 일회성이나 몇몇 사람들의 성과내기 용도가 아니라 일관적이고 지속성 있게 꾸준히 유지되고 발전될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늘봄학교 관계자분들 모두 응원하고, 우리나라 모든 부모님들도 모두모두 파이팅입니다!!!^^

 

※ 늘봄학교에 대해서 지극히 개인적/ 주관적으로 걱정되는 부분과 기대하는 점은 별도 블로그 참조 바랍니다.

(https://pooneyroon.tistory.com/4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