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기술

6G 기술의 정의, 장단점 및 전망

by 푸니룬 2024. 1.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행복한 부자입니다. 지난번의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6G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래 핵심 기술에 대해서 누구나 알기 쉽고 간단하게 소개하는 블로그의 취지인 만큼,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핵심만을 짚는 형태로, 6G가 무엇인지, 또 어떤 장단점을 가졌는지, 주요 핵심 기술은 무엇이며 향후 미래의 전망은 어떤지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5G도 이른데, 6G를 왜 벌써 논하냐는 궁금해하시는 분도 분명히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5G는 눈앞에 있는 기술로, 6G는 수년 이후에 도래할 기술이라는 비유로 답하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확실한 것은 이 6G 이동 통신 기술 또한 미래의 혁신 기술로 전문가들에게 평가받고 있다는 점이며, 이에 대한 연구 개발도 여러 곳에서 다양한 시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겠죠.

 6G란, 6세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이전 세대인 5G보다 한 단계 더 개선된 이동 통신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초고 대역, 초연결성, 초저지연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과거보다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미래 혁신 통신 기술입니다. 이 6G는 보다 더 향상되고 빠른 전송 속도, 과거보다 더 낮은 지연 시간, 보다 더 많은 것들과의 연결 및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 등, 많은 장점과 혜택을 가지고 있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죠.

 이 6G의 장점으로는 가장 먼저, 가장 빠른 속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고 대역폭을 기반으로,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초고속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죠. 그로 인해, 과거에는 경험할 수 없던 슈퍼 스피드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게 되죠. 두 번째 장점으로는 초 저 지연성을 들 수 있습니다. 통신 응답 시간을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지연을 0에 가깝게 수렴할 수 있죠. 이 초저지연 통신을 통해, 앞으로는 보다 더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세 번째로는 사물과의 연결성을 들 수 있습니다. 앞서 5G부터 도입된 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이 6G를 통해서 더욱 많은 발전과 확장성을 갖게 될 것이 자명한 사실이겠지요. 즉, 이전의 5G 세대에서는 시범적이고 제한적으로 운영되었던 스마트 시티 등의 기술도, 6G를 활용하게 될 경우, 보다 빠르고 넓은 확장성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늘 그렇듯, 장점이 있다면 단점이 있죠. 아무래도 이 6G 기술이 가진 장점과 혜택을 일반 사람이 향유하기에는 아직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6G 기술의 단점, 또는 제약 사항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6G 기술을 대단위로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가 필요합니다. 기존의 4~5G 세대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인프라로는 이 6G 이동 통신을 일반 실생활에서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즉, 대 단위의 많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게 마련이죠. 또한, 5G와 동일하게 보안 문제가 큰 risk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초고속으로, 초저지연의 이동 통신 특성을 기반으로 특정 정보의 보안이 위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이렇게 보니, 6G 이동 통신 기술의 장단점은 5G의 그것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이 6G 기술을 실현할 수 있게 만드는 핵심 기술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장 먼저, 초고주파 대역을 활용하는 기술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6G는 테라헤르츠파(300GHz 이상)와 밀리미터파(30GHz 이상)의 활용을 통해서 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초고주파 영역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기계학습이나 인공지능 기술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이 6G 통신 기술을 통해, 기계학습이나 인공지능이 스스로, 또는 자체적으로 신호 처리나 네트워크 관리 등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과거에는 체험할 수 없었던 지능적이고 효율적이며 매우 효과적인 이동 통신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앞서 언급했던 6G의 장점(초고속, 저지연)을 통해서,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 등의 새로운 경험 및 서비스를 과거보다 더 매끄럽게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양자 통신 등의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6G 이동 통신의 단점 중 하나인 보안성에 대한 위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양자 통신 네트워크 구축 등에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6G 이동 통신 기술은 당장 1~2년 이내에 체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전문가는 이 6G 기술의 상용화 시점을 2030 중반이나, 또는 2040년 이후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이나 실생활은 아직 5G 이동 통신 기술에도 충분하게 적응하고 있지 않으니 말이죠. 게다가 아직 5G도 역시 상용화가 충분히, 또는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이 5G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이렇게 투자된 시간과 비용에 대한 충분한 이윤을 거둔 이후에야 6G의 도입과 상용화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 6G 통신 기술을 통해서, 많은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더욱더 혁신적인 무엇인가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실생활, 의료 부문, IoT, 자율주행 및 스마트 시티 등 더욱 많은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어서 빨리 도래하길 바라봅니다.

 

반응형